2025년부터 출시되는 시놀로지 NAS의 하드디스크 제한에 대한 생각

정책을 보니까  j모델, Value모델은 하드디스크 제한이 없더라구요. + 모델부터 인것으로 보니까, 어느정도 라인업에 따라 차등하는것 같습니다.  즉 기존처럼 개인용, 가정용으로 쓰는 라인업은 기존처럼 하드디스크 제한이 없게 구성하고, SOHO용 부터 라인업은 기업용으로 공식적으로 분류한 거지요. 기업용이라는 이름 아래에 하드디스크 제한을 시작한걸 보면, 어찌보면 시놀로지 입장에서는 나름 합리적인 구성일 수 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저도 시놀로지 NAS를 쓰면서 … Read more

시놀로지 NAS 디스크 순서 변경 하여도 문제 없음 확인

제 NAS 는 2TB SSD 2개 (RAID 1), 그리고 8TB HDD 3개 (SHR1_RAID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순서를 1,2번 SSD / 3,4,5번 HDD로 해놨지요. 최초에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일단 SSD로 구성된 스토리지 풀을 빠른 데이터를 읽어와야하고 뭔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앞쪽에 배치하고 싶었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뒤쪽에 배치하고 싶은 단순한 목적이었습니다. 흡사 Windows의 C:\ … Read more

ipTIME 공유기의 간이 NAS 기능으로 시놀로지 NAS의 Hyper Backup을 사용해보기 (ipTIME 간이NAS 기능 rsync 프로토콜 활성화, rsync를 통한 시놀로지 NAS Hyper Backup 사용)

NAS를 도입할지말지 고민이라면 일단 읽어보세요 – (7) 백업 정책 – Minny’s Blog 라는 글과 과거에 커뮤니티에서 몇번 얘기했었던, 제가 운영하는 NAS의 백업 구성을 제대로 정리해둔건 없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정리를 하자면 정도로 나름 백업의 전략인 3,2,1을 준수…? 하고자 노력 하고 있긴 합니다. 사실 개인 레벨에서 원격지 백업만 돌려도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데이터를 쉽게 잃어버리지 않을 … Read more

ipTIME 공유기의 간이 NAS 기능으로 시놀로지 NAS의 Hyper Backup을 사용해보기 (ipTIME 간이NAS 기능 rsync 프로토콜 활성화, rsync를 통한 시놀로지 NAS Hyper Backup 사용)

NAS를 도입할지말지 고민이라면 일단 읽어보세요 – (7) 백업 정책 – Minny’s Blog 라는 글과 과거에 커뮤니티에서 몇번 얘기했었던, 제가 운영하는 NAS의 백업 구성을 제대로 정리해둔건 없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정리를 하자면 정도로 나름 백업의 전략인 3,2,1을 준수…? 하고자 노력 하고 있긴 합니다. 사실 개인 레벨에서 원격지 백업만 돌려도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데이터를 쉽게 잃어버리지 않을 … Read more

시놀로지 NAS, DS시리즈의 확장모듈 DX517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일단 가격이 터무니 없이 높습니다. 애초에 제품 컨셉이 확장유닛을 통한 내부 스토리지와 외부 스토리지간에 스토리지풀을 하나로 같이 묶는 용도이다보니 아무래도 독점일 수 밖에 없어 더욱 비싼것이 사실입니다. 만약 스토리지풀을 하나로 묶어야 하는 이유가 없다면 차라리 외장 스토리지로 연결하거나, 별도 NAS를 두시는게 더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도 우수합니다. 확장 스토리지는 오로지 하나의 스토리지풀로 묶어야 할때의 용도 그 이상은 … Read more

시놀로지의 보급형 모델은 정말 못 쓸 물건인가? – (1) 시작하며

NAS 를 사용하겠다 하면 대중적으로 바로 시놀로지에서 나온 물건을 우선적으로 보기 마련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시놀로지 제품이 그렇게 성능적으로, 기능적으로 우월한가? 라고 하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있는가? 그건 더더욱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NAS 하면 일단 시놀로지 제품을 추천합니다. 곰곰히 생각해보고, 직접 경험도 해보면서 그 이유는 쉽게 찾게 되었습니다. … Read more

NAS를 회사 또는 여러 사용자와 같이 사용하는데 있어 데이터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최소한의 관리 방법 – 권한

일반적으로 일단 NAS가 도입되게 되면 권한 설정등은 크게 신경쓰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접속되고 내가 보는 파일들이 다른사람과 동일하게 보인다면 그게 동일 계정이든 아니든간에 정상적으로 된다고 보고 셋팅을 끝내는게 제가 봤던 10의 케이스 중에 9곳이 그랬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이제 ‘사용자별로 계정 나눠주세요’, ‘권한 분리해서 나눠서 사용해주세요’, ‘개인 home 경로 안에서 활용해주세요’, ‘공유폴더는 목적에 맞게 … Read more

Synology E10G22-T1-Mini, 시놀로지 NAS 10Gb 이더넷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모듈 사용과 그 활용

제가 NAS 관련 글을 쓸때마다 늘 10Gbps는 필요없다. 1Gbps면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그 돈으로 디스크 용량을 높은걸로, 혹은 추가 구매를 하는 것을 추천했었는데,(NAS를 도입할지말지 고민이라면 일단 읽어보세요 – (10) 업그레이드 및 확장 – Minny’s Blog) 정작 그 의견을 쓴 제가 투자를 했으니 할 말은 없네요 ㅎ.. 여튼 저는 Synology DS1522+ 라는 NAS를 사용하고 있고, 여기에는 NAS에 … Read more

DSM 7.2.1-69057 Update 1 사용자시면 업데이트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현재까지 DS1522+를 특별한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지난주 토요일 새벽부터 스냅샷 지연 메일이 발송되었습니다. 뭔가 이상하다 싶을때 봤어야 했는데, 제가 지난 주말에 여행 계획이 있었고 빠르게 출발을 했어야 했어서 관심을 가지지 못했었네요. 결과적으로 일요일, 집에 와서 NAS에 설치된 과카몰리 서비스로 가상머신 서버에 접근하려고 보니 동작을 하지 않아, DSM 로그인을 하려고 하니, 로그인 페이지는 뜨지만 … Read more

NAS를 도입할지말지 고민이라면 일단 읽어보세요 – (10) 업그레이드 및 확장

개인용, 가정용 제품들은 업그레이드가 제약적이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소규모 사무용 라인업들 부터는 어느정도 기본 구성에서 추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됩니다.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요소는 보통은 RAM이나 전용 DAS 혹은 범용 DAS로 디스크 BAY 추가등이 있겠고, 조금 더 고급 제품으로 가게 되면 고 대여폭 NIC 추가나, 제품군에 따라서는 NVMe 확장이나 GPU 추가등 다양하게 확장이 가능합니다. 또는 약간 … Read more